매경이코노미
[매경이코노미=최정수 베인앤드컴퍼니 파트너] 우크라이나 전쟁의 중요한 교훈 중 하나는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우리 삶에 필수라는 점이다. 19세기부터 시작된 전력 혁명은 인류의 장수(長壽)와 번영에 크게 기여했다. 그러나 그 혜택이 모두에게 돌아간 것은 아니다. 현재 전 세계 인구 중 6억7500만명은 기본적인 전력 공급조차 받지 못한다. 전 세계 인구의 30%인 23억명은 전력 시설이 부족해 건강을 위협하는 환경에서 생활을 꾸려야 한다.
21세기 인류가 직면한 심각한 딜레마는 기후변화와 전력 빈곤 문제를 동시에 해결해야 한다는 점이다. 기후변화로 재생에너지 전환이 시급한 상황이면서도 인구 증가로 전력 수요는 꾸준히 늘어난다.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에너지 수요를 충족하지 못하면 기후변화 대응과 전력 수요 충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다 놓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진다.
2050년 전 세계 인구는 지금보다 17억명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전력 수요의 상당 부분은 전력 빈곤 지역에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도,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나이지리아 등 현재 전력 사용량은 적다. 하지만 인구는 많은 국가의 국민소득이 지금의 멕시코 수준으로 발전할 경우, 전 세계 전력 사용량은 2019년과 견줘 45% 늘어날 것으로 추산된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전 세계가 전력 수요를 충족하려면 2030년까지 에너지 분야 투자 증가 속도를 두 배는 늘려야 한다. 또한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려면 지금보다 신재생에너지 투자를 세 배는 늘려야 한다.
대다수 에너지 기업 경영진은 이런 상황을 누구보다 명확하게 인지하고 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에너지 안보가 각국 정부의 주요 과제로 급부상하며, 이를 달성하는 데도 여러 복잡다단한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수 요소인 주요 광물 자원 확보 경쟁은 날로 더 치열해진다. 베인 분석에 따르면, 신재생에너지 수요를 충족하려면 니켈과 코발트 생산량은 지금보다 2배 늘어야 한다. 배터리의 핵심 요소인 리튬 생산량은 지금보다 무려 7배가 늘어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 신재생에너지 투자 열기는 한풀 꺾여버렸다. 지난해 석유·가스 회사는 자본의 43%를 재생에너지 등 신사업을 위해 재투자했는데, 이는 2018년 58%보다 소폭 줄어든 수치다.
베인이 최근 600여명의 에너지 기업 경영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상당수가 “투자금 부족이 문제가 아니다”라고 답했다. 소비자들이 신재생에너지 도입에 따라 추가 비용을 지불하는 것에 거부감을 갖고 있다는 점이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기업 역시 신재생에너지 투자에 따른 수익률이 높지 않아 정부의 파격 혜택 없이는 추가 투자에 소극적이다.
탄소 배출량은 지난해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1850년부터 발생된 탄소 배출량 중 45%는 지난 30여년간 발생한 것으로 추산된다. 결국, 에너지 생산이 늘어나면 탄소 배출량도 늘어나는 상관관계를 끊어버리는 것이 해법이다. 이 딜레마를 풀지 못하면 지구는 기후변화로 더 큰 고통을 안게 된다. 또한 수억 명의 전력 빈곤층이 고통받는 상황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본 기사는 매경이코노미 제2227호 (2023.09.20~2023.09.26일자)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