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이코노미

우크라 전쟁이 바꾼 에너지 전환 방정식 [경영칼럼]

우크라 전쟁이 바꾼 에너지 전환 방정식 [경영칼럼]

  • 읽기 소요시간

Article

우크라 전쟁이 바꾼 에너지 전환 방정식 [경영칼럼]
ko

[매경이코노미=최정수 베인앤드컴퍼니 파트너]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에너지 위기가 탈(脫)탄소 흐름을 늦추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러시아산 천연가스(LNG) 공급 급감, 에너지 공급망 불안, 물가 급등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겹치며 신재생에너지 분야로 흘러갔던 투자금이 석탄 등 화석 연료로 회귀하는 움직임도 세계 곳곳에서 포착된다.

베인이 최근 에너지·자원 관련 글로벌 기업 임원 6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 세계 주요 기업 경영진은 지난해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탈탄소 흐름이 둔화할 것으로 봤다. 지난해 설문조사에서 경영진들은 2030년까지 주요 기업들의 탄소 배출량이 약 12% 줄어들 것으로 예측했으나, 올해 설문조사에서는 감소폭 예측치가 10%로 줄었다.

단기적으로는 신재생에너지의 낮은 수익성이 에너지 전환의 가장 큰 걸림돌로 꼽힌다. 이번 설문조사에서 5명 중 4명은 신재생에너지 사업 운영에 정부 지원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적정 수준 수익을 내려면 결국 전기료를 올릴 수밖에 없는데, 아직 적지 않은 소비자가 높은 전기료에 큰 저항감을 느끼기 때문이다. 현시점에서 정부 지원 없이는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가 지속 불가능하다는 게 에너지 기업 경영진의 공통된 의견이다.

정부 정책 불확실성도 에너지 전환의 주요 걸림돌로 여겨진다. 예컨대, 유럽에서 ‘정부 투자 지연에 따른 불확실성이 에너지 전환의 걸림돌’이라고 답한 비율이 2022년 36%에서 올해 61%로 급등했다. 미국의 경우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으로 정부 투자 지연을 부정적으로 보는 비율이 59%에서 50%로 줄었으나, 정부 정책 불확실성에 따른 우려감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재생에너지 사업이 급성장하면서 대중의 큰 관심을 받고 있으나, 조직 역량 구축과 인재 영입은 여전히 숙제로 남아 있다. 경영진 60%가 “2030년까지 디지털과 AI 기술이 자사 사업을 현저하게 변화시킬 것”이라면서도, 이런 변화를 관리하기 위한 인재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한다. 디지털 기술 인재 수요가 산업을 불문하고 급증하고 있어 기업 3곳 중 1곳은 필요 역량을 갖춘 엔지니어를 영입하는 데 힘들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난관 속에서도 주요 경영진은 장기적으로는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낙관적인 미래를 그린다. 상당수 기업 경영진은 2057년쯤 세계의 탄소중립이 달성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한다.

물론, 이런 예측을 현실화하려면 많은 전제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그중 하나가 막대한 투자다. 국제에너지기구(International Energy Agency)에 따르면, 2057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려면 현재 1조달러 수준인 청정에너지 투자가 2030년까지 4조달러로 늘려야 한다.

한국도 2030년을 기점으로 대폭적인 변화가 요구되는 글로벌 트렌드를 외면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에너지 전환 방정식은 더 복잡해졌다. 지난겨울 우리가 겪었던 ‘난방비 폭탄’은 시작일 뿐이다.

[본 기사는 매경이코노미 제2219호 (2023.07.26~2023.08.01일자) 기사입니다]

매경이코노미

태그

베인에 궁금하신 점이 있으신가요?

베인은 주저 없이 변화를 마주할 줄 아는 용감한 리더들과 함께합니다. 그리고, 이들의 담대한 용기는 고객사의 성공으로 이어집니다.